2023.09.03. 울산

Perilampidae 곱추좀벌과, Perilampinae

보고싶었던 곱추좀벌을 드디어 잡았습니다. 광활한 등판과 깍아지는 앞가슴등판, 뒷가슴등판(?)이 매력 포인트입니다.

https://www.nongsaro.go.kr/portal/ps/psw/pswb/pswba/beeNckFmlSrchTblRslt.ps?menuId=PS03278&clGruppEsntlNo=SER368

몸은 검거나 금속 광택이 있으며, 대개 체형이 뚜렷하게 부풀었다. 머리와/또는 전흉배판과 중흉배판에 대개 거친 골무 모양(배꼽 모양)의 점각이나 횡으로 넓은 활 모양의 주름이 있으나 후절은 광택이 나고 반짝인다. 촉각은 꽤 짧고 편절소마디가 11마디이며, 처음의 편절소마디는 반지 모양이다. 옆에서 보면 큰턱은 깊고, 튼튼하며, 오른쪽 큰턱에는 3개의 이빨이 있지만 왼쪽에는 2개밖에 없으며, 닫았을 때 큰턱 하나가 다른 것 앞에 엇갈린다. 윗입술은 가끔 두순 밑에 숨겨지지만, 만약 보인다면 끝 가장자리가 손가락 모양의 돌기로 돌출했고, 각 돌기에는 길고, 때로는 주걱 모양인 seta가 있다(윗입술이 가려졌을 때, setae는 대개 두순 끝부분 밑에서 방사형의 열처럼 보인다). 전흉배판에 뚜렷하고 옆으로 넓은 collar가 있는데, 이는 수직이거나 오목한 목에 비해 가파르게 각이 진다. Prepectus는 대개 전흉배판에 융합되지만 뚜렷한 골편으로 보인다면 전흉배판의 뒤-옆 표면, prepectus, 중흉측판의 앞가장자리가 평평한 평면으로 단단하게 결합되었다. 부절소마디는 5개이다. 옆에서 볼 때 후절은 대개 다소 삼각형이며, 자루마디 뒤의 첫 번째, 두 번째 등판은 등쪽으로는 결합되었지만(눈에 보이는 도랑이 있거나 없거나), 첫 번째 등판의 옆가장자리는 자유롭고 뒤쪽으로 등쪽의 융합선까지 넓게 휘어지며, 융합된 골편이 후절의 절반 이상을 덮는다. 산란관 수초는 약간 노출되었을 뿐이다.

2023.08.06. 울산

Chalcididae 수중다리좀벌과, Chalcidinae, Brachymeria obscurata 무늬수중다리좀벌

나방류 고치근처에서 산란 기회를 호시탐탐 노리던 개체를 잡아왔다.

많은 수중다리좀벌류를 찍으면서 언제 무늬수중다리좀벌을 잡나 생각했는데 갑작스럽게 기회가 와서 최대한 많이 잡았다.

자료대로 크기도 크고 무늬도 이뻐서 수중다리좀벌 중 가장 멋지다고 생각한다.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094626&cid=40942&categoryId=32522

몸길이는 약 6 mm이다. 몸빛깔은 대체로 흑색이다. 암컷은 머리와 가슴등판에 점각(點刻)이 있고 배는 매끈하며 광택이 난다. 제2배마디 옆면과 제3배마디 이후 배마디에는 약간의 점각이 있고 백색 털이 있다.

더듬이는 흑색이다. 앞다리 넓적마디 끝부, 종아리마디 뒷면의 흑색 무늬를 제외하고는 황색이며 발마디도 황색이다. 가운뎃다리 넓적마디 끝부, 종아리마디, 발마디는 황색이다. 뒷다리의 넓적마디는 크고 뒤쪽에 톱니가시가 줄지어 있으며 종아리마디 뒤쪽 밑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과 발마디는 황색이다. 날개는 투명하고 날개맥은 갈색이다. 작은방패판 끝은 작은 돌기로 변한다. 뒷다리 밑마디 끝에 작은돌기가 있다.

솔나방 ·집시나방 ·도둑나방 ·잠자리자나방 ·독나방 기타의 나비목 곤충의 번데기 및 각종 파리목 곤충의 번데기에 기생한다. 전국에서 발견되며 수중다리좀벌 중에서 가장 흔한 종이다. 한국 ·일본 ·타이완 ·중국 ·필리핀 ·자바 ·하와이 ·인도 등지에 널리 분포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무늬수중다리좀벌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Encyrtidae 깡충좀벌과

더듬이 끝은 판판하고 채찍마디는 흰색이다.

날개는 짧아 비행할 수 없고 짧은 거리를 뛰어다닌다.

Encyrtinae와 Tetracneminae의 구분 키가 뭔지 모르겠습니다.

Eulophidae, Tetrastichinae, sp.

짙은 청동빛이 마음에 듭니다.

본아과 종들은 동정이 너무 힘들어 아과수준 동정만 가능합니다 .....

의심가는 이름이 있으면 이야기 부탁드립니다.

2022.8. 울산

Eurytomidae, Eurytominae, Sycophila sp.

한국 기록에는 Sycophila Variegata 참나무혹살이좀벌 있다.

혹벌에 기생하는 종으로 기생에 기생을 하는 더블기생종이다.

분명 충영에서 나왔던거로 기억하는데 오래전에 찍은 사진이라 가물가물하다.




2023.06.28. 대전

Chalcididae 수중다리좀벌과, Dirhininae, sp.

다른 뿔수중다리좀벌류와 마찬가지로 낮은 이파리 위에서 3개체를 잡았다.

크기는 대략 2.5~2.8mm다.

Dirhininae안에는 Aplorhinus, Dirhinus, Pseudeniaca, Youngaia 4속이 있다고 알고 있는데 분류가 많이 바껴서 동정이 안된다.

 
 
 


2023.6.28. 대전

Chalcididae 수중다리좀벌과, Dirhininae, Dirhinus

크기는 대략 4~4.7mm.

생각보다 흔하다.

높은 곳에는 잘 없고 지면 위 1m부근에서 많이 보인다. 대부분 이파리 위에서 쉬는 2개체를 잡았다.

2023.6.10. 울산

Chalcididae 수중다리좀벌과, Dirhininae, Dirhinus

뒷다리 허벅마디에는 톱니가 있다.

3종정도가 잡히는데 위 종은 중간 크기다.

+ Recent posts